본문 바로가기

통증질환/근막통증증후군/테니스엘보우

어깨근막통증증후군의 원인은?

어깨근막통증증후군의 원인은?


 

근막통증증후군이라는 증상은 유독 목과 어깨에 자주 나타납니다. 특히 어깨 근막통증증후군은 원래 40~50대의 연령에서 자주 나타나지만 최근에는 직장인과 청소년에게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근막통증증후군의 이해에 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이란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얇고 투명한 근막이 짧아지게 되고 뭉치게 되면서 여러 통증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이 통증은 지속적으로 다른 부위로 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근육의 통증과 이와 동반된 연관통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특히 목 땡김과 목 통증이 주요 증상이고, 어깨 근육에 통증 유발점이 있으면 팔이 저리거나 힘이 빠지는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허리 또는 엉덩이 근육의 문제인 경우는 엉덩이 또는 다리가 저리는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은 어깨와 목, 등, 허리 근육 등에 자주 발생하고, 과도한 스트레스 또는 잘못된 자세가 원인입니다.

 

직장인들 또는 청소년기 학생들 중엔 컴퓨터를 사용하는 자세 또는 공부를 할 때에 책상에 앉는 자세가 바르지 못하며 어깨가 구부정하면서 머리를 앞으로 내민 상태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자세들의 근막통증증후군의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게다가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어 뒷목이나 어깨 주변의 근육들이 긴장이 되어서 통증이 생기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두통으로까지 이어지기도 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은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통증의 범위가 넓어지게 되고 만성화 될 우려가 높으므로 적절한 치료를 통하여 진행과 재발을 막고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은 참고 방치하는 것은 결코 좋은 방법이 아닌데요. 특히 청소년들처럼 공부에 집중해야 하는 학생들에게서 이런 증상이 보인다면 새 학기를 맞이하기 전에 제대로 된 치료를 하는 것이 학습이나 성장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게다가 올바른 자세와 꾸준한 스트레칭, 유산소 운동은 치료와 예방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평소 생활 습관 개선을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스트레칭은 자신의 통증 부위를 정확하게 진단을 받은 뒤에 방법을 처방 받는 것이 효과적이고, 자세는 항상 허리를 곧게 세우고 어깨를 긴장하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한 자세로 오랫동안 앉아 있을 경우엔 한 시간에 한번씩 가볍게 스트레칭과 체조를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지금까지 어깨 근막통증증후군의 이해에 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한의원에서는 봉침요법과 다양한 한방치료를 통해서 근막통증증후군을 치료하고 있습니다.

 

특히 봉침치료는 탁월한 소염작용을 하며 통증을 가라 앉히고 근육과 인대를 강화시켜줍니다. 근막통증증후군으로 고통 받고 있다면 언제든지 찾아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