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아토피 관리 방법
이제 곧 다가오는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떨어지기가 쉽고 건조하기 때문에 아토피 증상이 유독 심해져서 소아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진 아이들에게 고통을 야기시킵니다.
이번 시간에는 안아픈세상한의원과 함께 소아 아토피 관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의 소아아토피는 봄에 주로 나타났습니다. 알레르기성 질환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소아 아토피성 피부염가 봄에 가장 많이 발병했습니다. 아토피는 원인불명의 라는 의미로 뚜렷한 원인을 알 수 가 없는 피부 질환을 의미합니다.
아토피는 가려움이 심한 것이 특징인데요. 이로 인해 잠을 방해하거나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성장에 영향을 주기가 쉽습니다.
보통 돌 이전의 아이들은 얼굴이나 배, 등에 태열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다가 두 돌 무렵에는 팔 다리로 펴져 나가고, 세돌 이후에는 팔 다리의 접히는 부위에 집중이 되는 형태로 진행이 됩니다.
게다가 아토피는 피부질환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며, 알레르기성 결막염, 비염, 천식으로 발전이 되기가 쉬워서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토피는 보통 피부 면역력의 저하, 유전적인 영향,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서 발생이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토피 아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피부가 건조하여지고 악화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좀 더 시원하게 생활하도록 하며, 60%정도의 습도를 유지하고, 보습에 신경을 써주어야 됩니다.
꽃가루나 황사가 있는 날은 가급적 바깥활동을 피하고, 외출할 때는 마스크 및 모자를 꼭 쓰게 합니다. 집안 구석구석 물걸레청소를 자주 하며, 침구류는 자주 세탁을 하고 햇빛에 말리거나 삶아 소독을 잘 하여야 됩니다.
아토피의 한방치료는 외적인 요인을 강조하며, 피하기보다는 외부환경에 대하여 방어를 하는 힘 즉 인체 내부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소아아토피의 경우 속열과 소화기능의 미성숙이 피부면역력을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보고 있는데, 기혈순환을 도와 속열을 줄여나가고, 장을 비롯하여 소화기를 튼튼하게 하는 치료에 주력합니다.
아토피는 아이의 성장과 사회생활에도 큰 방해가 되기 때문에 아토피 증상이 보인다면 즉각적으로 진료와 치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아토피/건선 > 아토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이 가려울 때, 부평아토피한의원 (0) | 2015.09.18 |
---|---|
부천아토피한의원, 피부 가려움증 해결 (0) | 2015.09.04 |
부평피부한의원, 소아 아토피 관리 (0) | 2015.08.20 |
소아 아토피 관리 하는 방법 (0) | 2015.08.10 |
부평피부한의원, 성인 아토피의 치료 (0) | 2015.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