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류마티스

루푸스 진단 받았다면

루푸스 진단 받았다면

 

루푸스는 한쪽 볼에서 다른 쪽의 볼까지 코를 넘어서는 붉은 띠의 형태를 보이는 병입니다. 이는 면역체계의 이상 때문에 면역계가 자신의 인체를 공격하여 유전자와 호르몬에 이상이 발생해서 나타납니다.
루푸스 진단을 받았다며 초기에 치료를 할수록 효과적인데요.
오늘은 루푸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가면역질환은 생소한 이름만큼 이나 흔하게 발병하는 병은 아닙니다. 그러나 점점 편안하게 살기 어려워지는 분들이 많아지게 되면서 최근에는 자가면역질환으로 고통 받는 분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루푸스는 면역 시스템의 이상으로 면역세포가 자기 몸을 공격하여 조직에 염증을 일으키는 병으로, 특히 세포 내의 핵을 공격하여 파괴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서양인보다 동양인이 잘 나타나고 20~40대의 가임기 여성들에게 자주 나타납니다. 실제로도 루푸스 환자의 약 90%가량 정도가 여성이며, 대부분 임신이 가능한 시기의 여성들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엔 전체 15만 명 정도의 루푸스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을 하고 있습니다.

 

 

 

 

 

 

루푸스는 원판산 루푸스, 전신성 루푸스, 약제 유발성 루푸스, 신생아 루푸스로 나눌 수가 있는데, 흔히 루푸스하면은 전체 환자의 70%정도를 차지하는 전신성 루푸스를 말합니다. 전신성 루푸스는 말 그대로 피부, 신장, 신경조직, 폐, 심장 등 전신에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절반 이상이 중요한 기관에 문제를 일으킨다.

 

하지만 전체 환자의 15% 정도를 차지하는 원판상 루푸스는 피부에만 국한하여 발생을 하고 약제 유발성 루푸스는 특정 약물에 의하여 유발이 되고, 신생아 루푸스는 전신성 루푸스에 걸린 산모에게서 태어나는 신생아에게서 드물게 나타납니다.

 

 

 

 

 

루푸스는 전신질환이기 때문에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발열, 피로, 권태감, 식욕저하, 구토, 두통, 체중감소, 관절통, 근육통, 빈혈, 설사, 복통, 요통, 경련, 수면장애, 탈모, 신부전, 혈소판 감소증, 인지장애, 각질 발작 등 머리부터 발끝까지 병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 곳이 찾아보기 힘들 정도입니다.

 

게다가 다른 질환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면서 시시각각 증세가 바뀌기 때문에 루푸스 진단이 어렵고 아니라 증상이 장기간 지속이 됩니다.

 

 

 

 

 

루푸스는 늘 증상을 보이는 것은 아니며 병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고 환자를 괴롭힙니다. 이에 양학에서는 세포 공격을 하는 면역세포와 염증반응을 보이는 세포의 기능조절을 하거나 억제하여 병의 악화를 막는 효과가 있는 면역억제제를 이용하여 치료를 합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정상적인 인체의 기능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면역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한의학에서는 루푸스를 음양의 조화가 깨져 두 기운이 독으로 작용하는 병으로 보며 면역 세포의 불균형 해소를 하고 호르몬의 균형 회복과 염증 제거를 하며, 자연치유력을 키우는데에 초점을 맞추는 치료를 합니다. 환자의 증상에 따라 다양한 약재를 적절하게 활용한 한약물 요법과 봉독요법을 사용합니다.

 

 

 

 

 

봉독은 꿀벌의 산란관에서 나오는 독액으로 봉독요법은 벌의 독을 추출하고 정제하여 해당 경혈자리에 주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루푸스 진단을 받았다면 한의원에서 상담과 치료를 통해서 루푸스를 이겨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