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증질환/통풍/대상포진

대상포진의 발진과 관리

대상포진의 발진과 관리


 

요즘같이 일교차가 심한 환절기에는 생체리듬변화와 적응간에 생기는 불안균형 때문에 면역력 저하가 됩니다. 면역력이 저하되면 대상포진은 특히 민감하게 반응을 하게 됩니다.

 

오늘은 대상포진의 발진과 관리방법에 대해서 안아픈세상한의원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상포진은 바이러스가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뒤 몸 속 신경절에 잠복상태로 존재를 하고 있다가 활성화하면서 발생을 하는 질병입니다.

 

며칠 사이에 피부에 발진과 특징적인 물집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되면서 해당 부위에 통증이 동반 됩니다.

 

대부분 60세 이상의 노인에게서 많이 발생을 하지만 면역기능이 떨어진 경우엔 젊은 나이에 발병을 하기도 합니다. 1년 내내 발생을 하지만 특히 일교차가 크고 면역력이 떨어지기 쉬운 환절기 무렵에 발병률이 높은 편입니다. 최근 우리나라에도 환자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주로 증상은 신경근의 지각신경이 분포하는 부위에 국한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이 부위에 칼로 찌르는 듯한 날카로운 통증과 감각이상이 4-5일 정도 동반되다가 띠 모양의 붉은 반점이 신경을 따라 나타난 후 여러 개의 물집이 무리를 지어 나타나게 되며 수포는 10-14일 동안 고름이 차면서 탁해지다가 딱지로 변하게 되며, 접촉에 의해 물집이 터지면 궤양이 형성될 수도 있습니다.

 

보통 2주 정도 지나게 되면 딱지가 생기게 되면서 피부증상이 좋아지지만, 이후에도 해당부위에 대상포진성 신경통이 계속 되기도 하는데 이런 통증은 노인환자의 약 30% 정도에서 나타나고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여야 할 정도로 극심한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피부발진이 나타나기 전 1주 정도부터 감기 몸살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환자들은 흔히 몸살이 생겼거나 담이 결렸다고 생각하여 파스를 붙이는 등 자가치료를 하다가 늦게 치료를 받기도 합니다.

 

또 한가지의 특징은 증상이 대부분 한쪽으로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가슴 또는 옆구리, 얼굴 및 머리, 허리, 엉치뼈 주위에 많이 발생합니다. 또한 단순포진과는 다르게 재발하는 일은 그리 많지 않고 전염력도 거의 없습니다. 혹시 전염이 된다 해도 대상포진이 아니라 수두에 걸리게 됩니다. 그러나 어린이와 면역력이 떨어진 환자와는 격리 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면역력 저하는 대상포진뿐만 아니라 각종 질환에 노출이 되기 쉽기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로 합니다. 면역력 관리라고 하여 특별히 평소에 비싼 약을 먹는 것보다는 음식으로 섭취를 하고 규칙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면역력에는 싱싱한 채식 위주의 식단도 좋지만 중년의 시기에는 단백질이 풍부한 콩, 계란, 생선, 고기 등을 적정량을 꾸준히 섭취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아픈세상한의원에서는 대상포진 치료를 봉침, 해독치료, 면역력증강한약, 침 치료 등을 통해서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봉침은 강력한 항염증작용을 하며 면역기능을 조절하며 체내 호르몬 분비촉진 및 혈액순환개선과 신경손상 개선을 하는 치료방법입니다. 대상포진의 발진 증상 등이 보인다면 하루빨리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